생활정보

공기 정화 식물 미세먼지 제거 효과 있을까?

정보의 바다를 헤엄치는 물개 2019. 4. 1. 22:13
반응형

세계보건기구(WHO)는 건강을 해치는 가장 위험한 환경요소로 ‘미세먼지’를 지목했습니다. 그렇다면, 실내는 안전할까요? 

실내 공기에도 다양한 오염원이 존재합니다. 실내 오염 물질이 실외 오염 물질보다 폐에 도달할 확률이 약 1000배 이상 높다는 보고가 있는 만큼 실내라고 결코 마음을 놓을 수는 없는데요.

주기적인 환기가 매우 중요하지만 미세먼지가 극심한 날에는 이마저도 꺼려지는 것이 사실입니다. 이럴 때 도움을 주는 것이 바로 ‘공기정화식물’ 인데요. 과연, 공기정화식물의 미세먼지 제거 효과는 어떤지 또 그 원리는 무엇인지 실험으로 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실내 초 미세먼지 농도 저감 식물 5가지

어김없이 오늘도 미세먼지 농도가 심하네요. 이곳은 원주입니다. 원주의 현재 미세먼지 상황은 "최악"입니다. 치악산이 보이지 않네요. 최근에 깨끗한 치악산을 본적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. 딸아이 유치원 갈..

sdt1970.tistory.com

공기정화식물 미세먼지 제거 실험 Ⅰ


빈 챔버와 공기정화식물을 넣은 챔버에 각각 미세먼지를 투입하고 2시간 경과 후 미세먼지 제거량을 측정한 결과, 공기정화식물의 미세먼지 제거 효과 확인!

 

공기정화식물 미세먼지 제거 실험 Ⅱ


이번엔 식물 공기청정기 ‘바이오월’에 실험용 미세먼지를 투입 후 시간 경과에 따라 미세먼지를 측정해봤는데요. 

(바이오월 : 공기를 식물의 잎과 뿌리로 순환시키는 식물 공기청정기) 눈에 띄게 미세먼지가 줄어드는 것을 확인할 수 있었습니다.

 

공기정화식물 미세먼지 제거 실험 Ⅲ


식물의 잎에 미세먼지가 얼마나 붙어있는지 챔버에 스킨답서스를 넣고 미세먼지 투입 후 그 무게도 측정했는데요. 실험한 잎에서 미세먼지 무게를 확인할 수 있었습니다.

 


여기서 궁금증 하나! 공기정화식물은 어떻게 미세먼지를 제거할까요?

공기정화식물 미세먼지 제거 원리

① 잎 표면에 착붙!
잎 표면의 왁스층, 뒷면 털에 미세먼지가 붙으면 잘 떨어지지 않아요.

 


② 기공 안으로 쏙쏙!
잎 뒷면 기공 속으로 미세먼지가 흡수되어 없어져요.

 


③ 음이온과 양이온의 만남!
식물이 내뿜는 음이온과 양이온을 띤 미세먼지가 달라붙어 무거워지면서 바닥으로 떨어져요.

 


④ 휘발성 유기화합물질 흡수! 
미세먼지를 만드는 재료가 되는 휘발성 유기화합물질(VOC)을 흡수해 미세먼지 생성을 막아요. 
* VOC(Volatile Organic Compound) : 새집증후군의 원인 물질

 


깨끗한 실내 공기에 힐링은 덤! 
집 안에 예쁜 화분 하나 들여 놓는건 어떠세요? 공기정화식물이 여러분의 건강을 지켜드립니다. 

 

농촌진흥청 자료 중에서

반응형